소통(세대 통합,역량 강화) 교육

(교육) 근로지원인 양성교육 과정 - 인권교육 강사 김태일

김태일 소장 2023. 6. 10. 16:44
 

 

올해부터 근로지원인 양성교육 과정에 동참하게 되었다.

장애인 활동지원사 양성교육 과정에서 4년째 강의를 진행하고 있었는데,

이번에 또 근로지원인 양성교육 과정에 외부강사로 동참하게 되어 기쁘네요.

우리 장애인들을 위한 제도에 동참할 수 있어서 기쁘고~

또한 현장에서 장애근로자들과 함께하는 근로지원인들에게 조금이나마

장애근로자분들에게 잘 지원할 수 있게 교육하는 것이 나의 사명이다.

이번 교육 과정에서 제가 강의할 부분은

근로지원인 제도와 인권적인 소통 및 성폭력 예방 교육이다.

근로지원인 양성과정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♠ 근로지원인의 개념 및 도입 배경에 대해 살펴보자.

 

 

▶근로지원인 제도의 효과성에 대하여 잠시 알아보면

사회적 일자리 창출 : 중증장애 인력이 경험하고 있는 사회적 차별을 비롯하여 낮은 인적자원 수준, 직업적 능력의 부족을 현실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근로지원인 서비스를 제시될 수 있으며, 그 결과 다양한 사회적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게 됨.

동반 고용 실현 : 전인적 직업재활서비스 제공과 합리적 배려를 통해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동반 고용이 가능해짐

삼박자가 잘 굴러가는 세상이 되길 기원합니다.

 

▶근로지원인 서비스의 필요성

★ 근로지원인 서비스를 통해 궁극적으로 중증 장애인의 지속적 고용유지를 도모할 수 있게 되었고, 또한 취업 취약계층(주부를 포함한 경력단절인, 퇴직하신 어르신, 경증장애인, 대학생 등)의 고용 잠재적 인력을 취업시켜 실업군도 줄일 수 있게 되어 근로지원인 서비스의 필요성은 바로 이런 점에서 중요해졌고, 또한 중증 장애인 고용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타인의 도움이 필요한 중증 장애근로자가 공식적인 지원 시스템이 부재하다는 측면, 즉 재정 부담 등의 이유로 사업주들이 중증 장애인 고용을 회피하고 있다는 점에 대한 개선 필요성이 등장하게 되었음.

★ 그리고 그런 필요에 따라 장애로 인하여 부분적으로 상실된 근로능력을 보완, 업무의 효율성을 증대시켜 궁극적으로 중증 장애근로자의 고용 확대를 위해 도입된 제도가 바로 근로지원인 제도라 할 수 있다.

장애인 비장애인 구별이 없는

 

모두가 함께 더불어 사는

 

행복한 세상을 만들어보자!